10/12에 이어서
An Introduction to FRBR
by Arlene G. Taylor(In Understanding FRBR pp.1-19)
In Understanding FRBR Edited by Arlene G. Taylor.
check point
4. pp.9~10
FRBR의 attribute가 FRBRoo의 property로 된 사례
: attribute - value ==> property - instance로
FRBR는 "title of work"(attribute)-"show boat"
FRBRoo는 the work(-"show boat") "created by" person(-"Edna Ferber")
와 같이 FRBRoo는 모두 "관계"로 처리함
5. p.14
FRBR - Text oriented
따라서 non text에 적용학기 위해서는 다른분야의 목록규칙을 함께 볼 필요가 있음
6. pp.23-24
FRAD에서의 person, family, corporate body 중 family는 archival community를 포괄하려는 것임.
* 추가자료 *
1) Museum information system(pdf)
2) 동영상 저작 개발에도 FRBRoo고려(공연저작과 녹음저작)
7. pp.36-(chapet 4)에서는 "work"의 개념에 대해 다루고 있음
1) pp.41-42
저작, 개념 등에 대한 목록작성자의 고민을 표현했음. 그러나 인쇄자료가 중심이며, 유물이나 공연 정보자원에 대해서는 인쇄자료 수준의 고민이 수행되지 않았음
2) pp.48-49
work - intellectual part
book - material part
FRBR에서는 출판 과정에서의 지적 작업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음
FRBRoo에서는 이 점을 보완
3) p.62
FRBR에 관한 후속연구 중 세 번째에서 FRBR/CRM 관련 언급이 있음
4) p.65
FRBR 응용에 관한 연구중 semantic web 관련 언급이 있음. 이것이 FRBRoo와 관련 가능(나)
8. p.83
FRBR에서의 "저작"
'instantiation' -> 저작에 시간개념 도입
museum, archive와 연계
instantiation network와 bibliographic family와의 유사성
9. p.97
도서관 소장물과 기록관 소장물과의 관계
10. p.98
FRBR의 핵심개체: work
기록물의 핵심개체: collection, fonds
11. p.99
FRBR에서 기록을 다루는 문제
aggregate and component entities로 취급(anthology & monograhic series와 같이)
12. p.100
도서관과 기록관의 메타데이터 연계 가능성: 전거 공유 측면에서
13. p.101
CIDOC CRM - EAD 맵핑: 참고 16번(p.102)
14. p.103
FRBR의 work의 개념이 유물 중심의 유형에는 맞지 않음.
-FRBR과 CCO에서 다루는 work의 개념이 다름
15. p.104
FRBR과 CCO를 비교할 때는 개체 그 자체보다는 관계의 차이점이 중요
- FRBR 제1집단 개체 4개를 CCO에서는 모두 work로 다루고 있음(p.105 그림 참고)
16.p.110
참고문헌 2-3번(CCO/CDWA), 11번
archival D는 p.102의 15-17번 참고
댓글 없음:
댓글 쓰기